Q. 우리나라의 중산층에 기준은 어느 수준일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에서 아파트가 10억 원 정도라면, 그 집을 보유한 사람이 중산층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이는 주택 보유뿐만 아니라, 가구 소득이나 소비 생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7천만 원에서 1억 원 사이인 가구가 중산층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이외에도 직업, 교육 수준, 생활 수준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지만 상급지는 너무많이 가격이 올라서 요즘같은 상황에서는 상대적 박탈감이 들정도로 차별화가 심해져서 중산층 기준이 변화가 있을수 있습니다
Q. 아파트에만 살던 사람이 전원 주택에 가서 살면 힘이 들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는 관리가 잘 되어 있고, 시설이 거의 완비되어 있어서 편리한 점이 많지만, 전원 주택은 좀 더 많은 손이 가고 책임이 따르는 면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원주택에서는 집 안팎의 정원 관리, 보일러, 수도 등 관리가 필요하고 겨울철에 난방이나 눈 치우기, 여름철에는 곰팡이나 해충 관리 등도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아서 관리비 역시 많이 듭니다물론 자연환경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좋겠지만 제일 단점이 집값이 많이 오르지 않고급하게 매도해야 될경우 쉽지않다는 점입니다그런부분을 감안하고 매수하셔야 합니다
Q. 일반적인 빌딩의 취득세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도 여러채이면 중과세로 취득세는 다릅니다일반적인 빌딩의 취득세는 건물의 종류와 취득하는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아파트와는 달리 상업용 건물이나 일반 빌딩은 취득세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상업용 빌딩의 경우, 취득세율은 4%입니다다만, 이는 기본적인 세율이며, 몇 가지 특수한 경우나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신축 건물의 경우에는 추가적인 세금 혜택이 있을 수도 있고, 건물의 용도나 규모에 따라 세율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따라서 일반적인 빌딩의 경우 취득세는 취득가액의 4%가 기본이 되며,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정확한 계산은 세무사나 법무사를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Q. 부동산 재개발, 재건축 투자에서 기부채납을 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재개발이나 재건축 프로젝트에서 기부채납은 때때로 법적으로 요구됩니다. 정부는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될 때 공공의 이익을 고려하여 일부 시설이나 공간을 기부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공도로, 공원, 어린이집, 주민센터 등 공공시설을 제공해야 할 수도 있고 이는 개발 프로젝트가 완료된 후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목적입니다.재개발과 재건축 프로젝트에서 용적률을 상향시키는 방식으로 기부채납을 활용할 수 있고 개발자가 일정 비율의 공간을 공공에 기부하면, 그 대가로 더 많은 건축을 허용해 주는 방식으로 층수를 높게 짓게 해서 서로가 윈윈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