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의 전세와 매매가는 어느정도 차이가 나야하나요?
아파트의 전세와 매매가는 어느정도 차이가 나야하나요? 전세가와 큰차이가없다면 매매보단 전세로 사는것이 더더욱 유리한가요? 재산세도 내지 않아도 되고 말이죠
통상 평균은 매매가율 대비 전세가율은 70% 정도로 형성이 됩니다만,
인기가 좋은 지역은 80%까지 육박하는 경우도 있고, 신축아파트 처럼 입주 공급이 많은 지역은 50~60% 정도로
형성이 되는 곳도 있습니다.
하지만 집값이 상승을 할 경우 그 이익은 집주인한테 가고 임차인에게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즉 집값 상승기에는 매매가 집값 하락기에는 전세가 유리 합니다.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는 전세가율로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안정적인 전세가율이라면 60%이내로 볼 수 있습니다. 약 9~10억원 정도의 시세가 가능하면 6억원 이내라면 큰 무리없이 안전하게 전세를 사는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전세가율이 높다면 갭투자라는 개념으로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만약 전세를 빼야 하는 시기가 오는데 역으로 시세가 떨어져 매매가가 낮아지고 전세가가 매매가보다높아질 경우 집주인이 이를 전세금을 돌려줄 상황이 된다면 좋지만 오히려 못돌려 준다는 등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전세가와 매매가가 비슷한데 실거주하실 생각이라면 매매하는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어느정도 차이가 나야한다는 기준은 없습니다.
강남구 아파트의 경우, 입지로 인한 재건축 호재로 매매가는 비싸지만
실질적 건물의 가치는 낮기에 전세가는 굉장히 낮은 편 입니다.
전세가율로 따지면 30%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고요.
반면 역세권 신축빌라의 경우, 전세가는 굉장히 높지만
실제 매매가는 낮은 편 입니다.
전세가율로 따지면 90%가 넘고, 상황에 따라 역전세로 거래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안전성을 중점으로 보신다면, 전세가율은 70% 초과하지 않은 주택으로 임차하는게 좋습니다.
전세로 거주하는건 단순 가격의 문제도 있지만
생애최초 청약을 위한 무주택 유지 및 취득세, 재산세 등 세금 문제로 전세를 거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아파트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전세가율(전세가가 매매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0% 이상인 경우 전세가 매매보다 유리할 수 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전세와 매매의 선택은 개인의 상황, 시장 상황, 미래 계획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세가율이 높고 금리가 높은 시기에는 전세가 유리할 수 있지만, 반대로 매매가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매매가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재정 상황과 생활 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현재의 부동산 시장 동향과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최적의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
그집상태에 따라 집값과 전세가차이가 날수 있지만 전세가가 60%~80%가 될수도 있습니다
전세로 살면 각종 세금은 안내도 되지만 집값이 많이 오를수 있어서 어떻게 보면 사는게 유리할수 있습니다
여러채는 아니더라도 한채는 있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어느정도 차이가 나야 하는것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매매수요와 전세수요의 차이에 의해 가격이 형성되니깐요. 그리고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익 거의 없다면 당연히 매매를 해야 하겠죠. 전세가의 상승은 매매가의 상승을 불러옵니다.
전세가와 매매가의 차이 , 즉 전세가율이 높으면 이후 부동산 가격이 하락될 경우 깡통전세가 될수 있고 이런 경우 만기시 보증금 회수가 매우 어려울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전세임대차를 진행할때 전세가율이 80%을 초과하는 주택에 대해서는 보증보험가입이 될 경우에만 계약을 진행하시는게 안전합니다. 그리고 재산세등의 문제가 전세와 매매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자금조달이 용이한지(대출한도와 이자율등)과 향후 주택가치상승 가능성이 있는지가 전세와 매매의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보통 대단지의 아파트는 전세가율이 50~60% 정도 되고 신축 입주 하는 아파트는 그보다 낮기도 합니다.
나홀로 아파트나 저가 아파트들은 매매가의 80%에서 많게는 90% 정도까지도 전세가율이 나오기도 하는데 그런곳이라면 전세가 나을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아파트의 전세와 매매가는 어느정도 차이가 나야하나요? 전세가와 큰차이가없다면 매매보단 전세로 사는것이 더더욱 유리한가요? 재산세도 내지 않아도 되고 말이죠
==> 통상 매매와 전세가격비는 통상 60% 내외입니다. 전세가와 매매가격 차이가 별로 없다면 보증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반전세 또는 매매로 진행하시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재산세 부과는 별도입니다.
평균적으로 전세가는 매매가의 60-80퍼센트 수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세가와 매매가가 비슷하다고 하여 반드시 전세가 유리하진 않습니다. 매매가상승 직전에 그런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