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어린긴꼬리279
어린긴꼬리27921.03.19

40대에 대기업 인사노무팀장 vs 노무사?

노무사 2차 준비하는 직장인으로 현재 43세 입니다.

대기업 인사.노무 담당자입니다.

40대 중반정도에 노무사 자격 획득 후 활동하는 노무사분들 솔직히 현직장 계속 근무(현재 팀내 NO.2로 팀장은 될 수 있음) or 노무사 업무 어떤 쪽이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차충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대기업 인사 담당자로서 팀장의 지위까지 보장된 경우라면 굳이 회사를 그만두고 노무사로 전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인사 전문가로서 노무사 자격증을 따고자 하는 것은 추천해드리나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면 현재 업무에 충실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형규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문의사항에 대하여 노동관계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바는 없음을 알려드리며, 회사 내 취업규칙 등 사규에 의해 정해질 사항임을 알려드립니다. 따라서 회사 내부의 규정을 확인하시어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박정준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본인의 가치관과 맞는일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노무사는 대기업 임원 이상의 소득을 얻을수도 있으며, 중소기업 사원보다 못한 소득을 얻을수도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현재 본인의 소득과 이상, 가치관, 방향성을 전부 고려하셔서 고민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개인의 성향은 그누구도 알수 없기 때문에 노무사를 따서 잘 활용하는 사람도 있고, 노무사 취득을 후회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종영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퇴직 후 공인노무사로 활동하는 경우 1)영업 역량과 네트워크, 2)개업 초기 예상수입, 3)기대근속년수, 4)전문성 및 실무역량 등을 고려합니다.

    2.이 때, 인사업무와 공인노무사 업무가 일치하지는 않는 점을 고려하셔서, 가능하면 자격증 취득 후 수습기간 동안 직접 공인노무사 업무를 해보신 후에 결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40대 중반정도의 노무사 취득을 하거나 자격증을 갖고 계시는 분들은 보통 필드로 많이 나오십니다. 본인의 인프라와 그동안의 지식으로

    노무법인으로 개업을해서 활동을 많이 하십니다. 참고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이승철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이 어려우나, 노무사 자격증 취득만 가능하다면 노무사쪽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년 문제도 있고 좀 더 자기가 하고 싶은 일, 자기를 위한 삶을 설계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기업 인사노무 팀장은 노무사 취득 후에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전재필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이 부분은 개인 성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어떤 쪽이 괜찮다고 말씀드리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대기업 인사/노무팀은 안정적이나 큰 돈을 벌수 없는 반면,

    개인사업 노무사는 불안정적이고 미래가 불확실해질 수 있지만 큰 돈을 벌수있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지는 개인의 입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어느 쪽이 절대적으로 좋다고 일반화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무사 자격증이 유용한 것은 확실합니다. 능력이 된다면 노무사 자격을 획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열심히 공부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권병훈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40대 중반정도에 노무사 자격 획득 후 활동하는 노무사분들 솔직히 현직장 계속 근무(현재 팀내 NO.2로 팀장은 될 수 있음) or 노무사 업무 어떤 쪽이 괜찮을까요?

    일정기간 일을 배우고 개업을하실생각이라면 모르겠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직장생활하시는게 날수있습니다.

    직장나오시면 밖에선 아무도 보호해주지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백승재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기준 대기업 근로자가 더 나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노무사 개업을 생각하시는 것이 좋겠지요.

    빨리 정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퇴직하시면, 퇴직금도 두둑하실 테니, 조금 고생한다는 생각으로

    개업하시기를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