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보이는 경치가 집값에 영향을 주나요?
같은 지역에 같은 평수라도 어떤 경치가 보이느냐에 따라 집값에 차이가 날 수 있나요?집에서 보이는 경치가 좋으면 가격이 높아질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같은 지역의 같은 평수라도 경치에 따라서 집값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제일 앞동으로서 앞에 막힌 것이 없이 오션뷰, 리버뷰, 호수뷰 등을 가지고 있다면 그렇지 않은 집에 비해 훨씬 높은 금액에 팔릴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전망좋은 집은 아무래도 선호도가 높으며 집값에는 약간 영향을 미칩니다
같은 동 아파트도 층고에 따라 로얄층은 분양시 부터 가격차이를 나타납니다
참고 바랍니다
1명 평가차이가 많이 날 수 있습니다.
한강뷰가 괜히 비싼게 아닙니다.
앞에 다른 동이나 건물로 막혀 있지 않고 정원뷰라던가 뻥 뚫린 고층뷰는 뷰 값이 상당합니다.
트리마제 30평대 같은 경우 한강이 잘 안보이는 저층과 고층은 5억 이상의 차이가 납니다.
1명 평가같은 지역에 같은 평수라도 어떤 경치가 보이느냐에 따라 집값에 차이가 날 수 있나요?집에서 보이는 경치가 좋으면 가격이 높아질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네 조망권도 집값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좋은 조망일수록 집값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집에서 보이는 경치(뷰)는 집 값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같은 지역, 같은 평수라도 어떤 경치가 보이느냐에 따라 가격 차이가 제법 날 수 있습니다.
희소성이 있으면 그 만큼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집에서 보이는 경치(뷰)는 집값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같은 지역, 같은 평수, 같은 구조의 집이라도 창밖으로 어떤 경치가 보이느냐에 따라 가격 차이가 많이 납니다
특히 한강뷰, 바다뷰, 산뷰처럼 탁 트인 자연경관이 보이는 집은 일반적으로 수요가 높고, 가격도 더 비쌉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는 같은 아파트라도 한강이 보이느냐 안 보이느냐에 따라 수천만 원에서 억 단위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조망권은 희소성이 있기도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네, 맞습니다! 집에서 보이는 경치(뷰)는 집값에 분명한 영향을 미칩니다.
왜 경치가 집값에 영향을 줄까요?
같은 지역, 같은 평형이라도 어떤 방향의 전망이 보이느냐에 따라 수천만 원, 많게는 억 단위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쾌적성
탁 트인 강, 바다, 공원, 산이 보이면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만족도가 높아져 수요도 많아집니다.
희소성
누구나 좋은 뷰를 가질 수는 없기 때문에 좋은 전망이 있는 집은 희소성이 생기고, 자연스레 프리미엄이 붙게 됩니다.프라이버시 확보
맞은편 아파트가 없는 경우 혹은 공원·녹지 쪽을 바라보는 경우는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도 선호돼 가격이 올라갑니다.재판매 가치
향후 매매 시에도 ‘뷰가 좋은 집’은 빠르게, 비싸게 거래되는 경우가 많아 실거주·투자 모두 유리합니다.
서울 강남 아파트의 경우, 한강 조망 유무만으로 가격이 1억~3억 이상 차이 납니다.
지방에서도 바다나 공원 조망 아파트는 같은 단지 내에서도 층·동에 따라 수천만 원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리하면 같은 지역, 같은 평형이라도 집에서 보이는 경치는 집값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좋은 조망이 확보된 집은 실거주 만족도뿐 아니라 향후 매도할 때도 유리하기 때문에, 프리미엄이 붙는 경우가 많습니다.참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같은 동이라도 고층 즉 로얄층의 경우 조망권이 확보가 되고 채광이 우수하므로 저층보다 인기가 많고 수요가 많아서 가격이 높게 형성이 되는 것 처럼 조망권도 가격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주변에 보이는 조망권도 최근들어서는 주택가격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특히나 서울의 경우 한강조망권일수록 주택가격에 프리미엄이 붙게 되며, 리버뷰나 숲세권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 매물대비해서 시세는 높게 평가될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