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검붉은코브라279
검붉은코브라279

무조건 정직을 달아주어야 하는 기간이 있나요?

공장에서 일하다보면 매년 일정인원 정직원을 시켜주는데요. 저도 달고싶은데요. 용역으로 최소 몇년이상 일하면 무조건 정직원을 시켜줘야하는 기간이 법적으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기간제법에 따라 2년을 초과하여 고용하는 경우에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전환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정규직은 법정 용어가 아닙니다.

      정규직 시켜주는 규정은 없습니다

      무기계약직은 있습니다.

      하나의 사업장에서 2년을 초과하여 근무시키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됩니다.

      (무기계약직: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기간제법에 따라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을 2년 초과로 체결한 경우에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와 같이 기간만료로 근로관계 종료가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기간제법의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한 회사가 근로자와 기간의 정함이 있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은 2년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근로자수 5인이상 사업장의 경우 계약직으로 2년을 초과하여 근무시 기간제법에 따라 무기계약직으로 전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해당 공장에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근로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몇가지 예외사유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2년을 초과하여 근로한다면 정규직전환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정직원 전환에 대해서는 각 회사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기간제나 파견직은 2년을 초과하여 사용할 수 없지만 용역업체 소속은 기간제한이 없습니다. 다만 불법파견인 경우는 즉시 직고용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정직원으로 승급시키는 것은 법이 정하고 있지 않고 회사의 내부규율에 다르는 것입니다. 회사에 문의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기간제 근로자로서 2년 이상 근로하는 경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로 전환됩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용역회사 소속의 근로자를 원청에서 정규직으로 채용해야할 법적 의무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