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회사 퇴직을 하고 난후 몇일이 지나야 퇴직금을 받을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를 그만두고 퇴직을 하려고 합니다. 20년 넘게 다니면서 이제 다른 일을 해보려고 합니다.오랫동안 다녀서 퇴직금도 조금 될듯 싶은데 제가 궁금한건 혹시 5월 말까지 일을 하고 퇴직을 한다면 퇴직금은 몇일 후에 받을수 있는 건가요?[답변]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임금, 퇴직금 등 각종 금품은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정산되어야합니다.다만, 당사자 간에 합의가 있다면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근무지 이동으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기숙사 제공)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현재 근무지에서 회사까지의 거리는 왕복 2시간 30분정도 걸리고,근무지가 이동을 하면서 다른 곳으로 발령이 났는데 발령난 곳은 3시간이 넘게 걸립니다.(모두 대중교통으로 이동시 걸리는 소요 시간, 네이버 지도에서 확인)이렇게 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을까요?[답변]회사측 사정으로 인해 근무지 발령 사유가 발생하여 통근 왕복 시간이 3시간 이상이 된다면, 실업급여 수급 자격을 취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급여 지급 관련해서 선지급,후지급 관련해서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선지급,후지급 어떤 형태로 많이들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사무직만 있는 회사입니다.선지급,후지급 장단점 극명하게 갈릴 것 같은데 뭘지 궁금합니다.[답변]보통 익일 지급하는 후지급 방식을 많이 취합니다. 선지급한다면 한달을 채우지 못하고 퇴사하는 경우 일할 계산해야하는 번거로울 수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바랍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급여명세서 줄 때, 급여산출내역(계산방법) 필수로 기입해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질의]급여명세서안에 급여산출내역(급여계산방법)을 필수로 넣어야 되나요?이전에 급여명세서안에 필수로 급여산출 계산내역도 넣어야 된다고 들었는데 맞는 얘기인가요??만약에 맞다면 안지키면 어떻게 되나요?[답변]근로기준법 제48조 제2항에 따라 '임금 계산방법'도 서면 교부하여야합니다.위반 시 근로기준법 제116조 제2항에 따라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관련법령]근로기준법 48조(임금대장 및 임금명세서) ① 사용자는 각 사업장별로 임금대장을 작성하고 임금과 가족수당 계산의 기초가 되는 사항, 임금액,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임금을 지급할 때마다 적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는 근로자에게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 제43조제1항 단서에 따라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의 내역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은 임금명세서를 서면(「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전자문서를 포함한다)으로 교부하여야 한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