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계약 만료전 이사할 경우....
월세만료가 내년 2월중순 입니다 그런데 집을 미리 구해서 이번달에 이사를 하려고 하는데..이럴경우 1,2월 두달치 월세도 내고 이사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계약만료 전 전출을 원하시면 임대인과 협의를 통해 월세는 미리 지급하거나 보증금을 계약만료 때 지급 받기로 하고 전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임대인과 협의가 우선이니 임대인에게 연락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만기전에 다른 세입자를 구하지 못한 상태라면 만기때까지의 월세를 내셔야 합니다.
만약 다음 세입자가 구해졌다면 다음세입자가 들어오늘 날까지를 일할 계산해서 내시면 됩니다.
월세만료가 내년 2월중순 입니다 그런데 집을 미리 구해서 이번달에 이사를 하려고 하는데..이럴경우 1,2월 두달치 월세도 내고 이사해야하나요?
==> 우선적으로 보증금을 받기 위해서는 임대인과 협의가 우선입니다. 그 다음에 협의결과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임대차계약기간이 내년 2월까지라면 이 기간 이전에 새로운 임차인이 입주를 하지 않는다면 계약기간 까지 월세를 부담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만기전이고 그집이 안빠진 상태라면 임대인이 월세를 만기까지 요구를 할것으로 보입니다
보증금역시 그때 준다고 할수도 있습니다
임대인과 협의를 잘해서 이사를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임대차계약의 경우 계약기간은 책임을 지셔야 합니다.
물론 임대인에게도 계약 완료 6~2개월 전에 미리 나간다고 말을 해야 합니다. 하지 않을 경우 묵시적 갱신이 되어 자동갱신이 되어져 버립니다. 그럼 계약해지를 하기 위해서는 3개월 정도 걸립니다.
임대인이 다른 세입자를 구하는 시간을 미리 줘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이 만료되기 전에 이사하는 경우에는 잔여 개월 동안의 월세를 지불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복비를 부담하고 후속 세입자가 들어올때까지의 월세를 부담해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기간이 2개월 남아 있는데 다른 곳으로 이사하게되면 계약위반입니다 따라서 월세의 경우 게속월세를 지줄하셔야합니다 다만 현실태를 감안하여 임대인과 협 하시어 감액처리하거나 새로운 임차인을 빨리 구해서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원칙적으론 그렇습니다. 새로운임차인을 구하시거나 임대인과 협의해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원론적으로는 임대인은 계약의 이행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2월까지 만기라면 그때까지 월세를 부담하셔야 하는 것이 원칙이고요.
그러나 임대인과 협의에 따라서 부동산 중개수수료 정도를 부담하고 다음 임차인을 구하는 선에서 계약을 종료하기도 합니다.
우선적으로 임대인과 상의를 하시는 것이 빠를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