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연차사용시 유급 인정 범위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옥동진 노무사입니다.감단 근로자의 연차 산정 관련 행정해석에 따르면, '근무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주기의 근로시간 합계를 일 수로 나누는 방법에 따라야 합니다.예컨대 1일 24시간 근무, 1일 휴식 인 경우-24시간/2일 = 12시간 유급 휴가 지급이 됩니다.아래 행정해석 내용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임금근로시간과-982, 제정일자 : 2022-05-04감시·단속적 근로자의 연차휴가수당 및 근로자의 날 휴일수당 관련하여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1일 소정근로시간) 산정 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 드리니, 업무 처리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연차휴가수당 (연차휴가미사용수당) ○ 근로기준법 제63조에 따라 근로시간, 휴게, 휴일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감단근로자의 연차휴가수당 산정과 관련하여, 종전에 1주 단위로 근로하는 감단근로자의 경우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1일 소정근로시간)을 1주 40시간에 비례하여 산정하는 것으로 해석한 바 있으나(임금근로시간과-517, 2021.3.5), - 감단근로자의 경우 일반근로자와 달리 법정근로시간, 휴게, 휴일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 1일 소정근로시간)을 1주 40시간에 비례 산정하기보다는 근무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주기의 근로시간 합계를 해당 주기의 일수로 나누는 것이 제도 취지에 부합하는 것으로 사료됨. * 주 단위 근무는 1주 근로시간 합계 ÷ 7일, 격일제(24시간 격일제 포함)는 근무일의 근로시간 합계 ÷ 2일, 「2일 근무, 1일 휴무」는 2일 근무일의 근로시간 합계 ÷ 3일 등 □ 근로자의 날 유급휴일수당 ○ 근로자의 날은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의해 특정일을 기념하여 유급휴일로 보장하고 있으므로, 근로자의 날이 무급휴(무)일과 겹치더라도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을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그동안 일관되게 해석 ○ 이와 관련하여 근로자의 날 유급휴일수당은 근로자의 날에 근무를 한다면 지급받을 수 있는 임금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 하루의 소정임금 (1일 소정근로시간)을 산정하여 지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됨(감단근로자의 통상 1일 소정근로시간은 상기 연차휴가수당 산정방법 참조). 끝.
Q. 어떤 직장에 5년째 근무한다면 연가는 며칠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옥동진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 제4항에 따라, 한 직장에서 3년이상 계속근로하면 그때부터 격년단위로 연차휴가가 하나씩 더 발생합니다.참고로 연차유급휴가는 전년도 근로에 대해 올해 지급하는 것이므로,입사한지 '5년차'라면 전년도인 4년차 근무에 대해 올해 사용할 수 있는 연차는 16개일 것입니다.1, 2년: 15개3, 4년: 16개5, 6년: 17개